HWPL 세계여성평화 콘퍼런스

갈등을 넘어: 희망과 회복을 향한 여성의 평화 리더십

본 콘퍼런스는 오늘날 분쟁과 위기 속에서 여성 리더십이 어떻게 평화를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한 큰 그림을 제시하며 시작합니다. 뒤이어 국제사회의 주요 아젠다와 정책적 담론 속에서 여성 리더십의 의미를 살펴보고, 지역과 현장에서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공동체를 변화시킨 실제 사례들을 통해 현시점 우리가 마주한 평화 구축의 과제와 비전을 탐구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모든 노력이 현재에만 머물지 않도록, 제도화와 시민사회의 움직임, 교육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평화를 꿈꾸며 1부는 마무리됩니다.

2부에서 우리는 특히 평화교육에 집중합니다. 정부와 국가 차원에서 평화교육을 어떻게 바라보고 추진할 수 있는지, 지역 공동체와 현장에서 평화교육이 어떠한 구체적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논합니다. 이 논의는 IWPG의 여성평화교육이 현장에서 시행되며 다양한 영역에서 여성들이 평화의 주체로 자리매김한 몽골의 사례를 통해 구체화됩니다. 이로써 우리는 평화교육이 지속가능한 평화의 토대가 됨을 확인합니다.

PROGRAM / 일시 2025년 9월 19일 (금) 10:00
1부
오프닝
IWPG 홍보영상
개회사
공로패 수여식
자문위원/홍보대사 위촉식
축사
기조연설  분쟁의 시대, 평화를 말하다
후리아 칼리파 밀루드 알-타말 리비아 통합정부 여성부 장관
주제1  회복을 향한 전환점, 여성의 평화 리더십
발제1   갈등과 위기 상황에서 여성의 리더십과 여성의 역할
빈투 푸네 사마케 말리 과도정부 여성·아동·가족 진흥부 전(前) 장관

발제2   여성 리더십의 강력한 힘과 국제사회 평화에 기여하는 효과
킴 심플리스 배로 벨리즈 전(前) 영부인

발제3   평화 프로세스에서의 여성의 리더십과 중요성: 여성, 평화, 안보(WPS)
암리타 카푸어 여성국제평화자유연맹(WILPF) 사무총장
주제2  지역에서 세계로: 평화를 이끄는 여성의 목소리
발제1   여성, 평화와 지속가능성을 설계하다
부조 락슈미 몽골 환경기후변화부 젠더 이슈 자문위원

발제2   갈등의 땅에서 평화의 터전으로: 여성 리더십이 만든 변화
마리아 테레사 로요 팀볼 필리핀 다바오 델 노르테 카팔롱 부시장

발제3   기후위기, 물, 평화와 안보 분야에서 여성의 참여와 리더십
루스 알메다 리차드슨 국제자유주의여성네트워크(INLW) 사무총장
주제3  여성의 참여가 만드는 평화의 지속성
발제1   평화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 DPCW와 여성
맘푸라네 캐론 크고모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관계협력부·성별·다양성관리부 부국장

발제2   시민사회 속 여성의 역할: 분단국가에서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하여
이해령 탈북민 희망클럽 재무이사

발제3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미래 교육
시몬 양키 우아타라 아프리카연합 국제 소녀 및 여성 교육센터 (AU CIEFFA) 코디네이터
종합 및 결론 | 여성과 함께 그리는 평화의 미래
특별공연
클로징
2부
오프닝
여성평화교육 홍보영상
주제1  공공의 자리에서 시작된 평화교육: 실천에서 확산으로
발제1   국가가 이끈 여성 중심 평화교육의 첫걸음
나세네바 투레 디아네 코트디부아르 여성아동가족부 장관

발제2   공적 자리에서 시작된 평화의 목소리
파이자 압델라퀴브 살람 예멘 문화부 차관
주제2  현장의 변화를 이끄는 평화교육
발제1   지역사회를 바꾸는 평화교육의 힘
에린마 벨 영국 그레이터 맨체스터 왕실 부대표

발제2   교육 현장에서 피워낸 평화의 감수성
캼 인 샨 여성 개발 네트워크(SWDN) 이사
주제3  몽골 여성들의 실천과 연대: 평화교육으로 만들어낸 변화
발제1   군 내 여성 주도 평화교육의 실천 사례
르학바수렝 냠체첵 몽골 공군사령부 의료보급부 장교

발제2   시민사회 기반 평화교육 네트워크의 형성과 발전
투무르호약 엥흐타이완 IWPG 몽골 울란바토르 지부장
오픈마이크 평화교육이 만든 '나'의 변화
종합 및 결론
클로징